국립과학박물관
「빙하기」 라고 들으면, 현대와는 완전히 다른, 얼음이나 눈이나 덮인 가혹한 세계를 이미지하는 사람도 있을 것입니다. 그러나 학문적으로 빙하기는 육지를 덮는 두꺼운 얼음 덩어리인 빙상이 대륙 규모에서 널리 존재하는 시대를 말합니다.
한랭으로 빙상이 크게 성장하는 시대인 '빙기'와 비교적 온난하고 빙상이 후퇴하는 '간빙기'를 약 10만년 주기로 번갈아 돌려주기 때문에 빙하기가 항상 추운 시대라는 것은 아닙니다. 연일 혹서에 시달리고 있는 우리가 사는 2025년도 그린란드나 남극에 빙상이 존재하는 ‘간빙기’ 속에서, 즉 빙하기에 속하고 있다는 것을 알면 조금만 보이는 방식이 바뀌는 것은 아닐까요.
현재, 국립과학박물관에서 개최되고 있는 특별전 「빙하기전 ~인류가 본 4만년 전의 세계~」 (회기:2025년 7월 12일~10월 13일)는, 최종 빙기에 해당하는 4만년 전후의 지구의 모습에 초점을 맞춘 전람회.
일본 최초 공개가 되는 네안델탈인과 크로마뇽인의 실물의 두개골을 비롯해 멸종 동물의 골격 표본이나 생태 복원 모형, 고고 자료의 전시 등을 통해 현대와는 전혀 다른 환경에서 살아온 인류와 동물의 생활과 환경의 변화를 최신 과학적 지식과 박력 있는 전시로 소개하는 내용

본전의 감수를 맡은 나라‴과학박물관‑・시노코 겸 씨는, 보도 내람회에서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습니다.
“세계에는 80억의 인류가 살고 있습니다만, 실은 모두 호모 사피엔스라고 하는 1종류의 생물입니다.한때 유럽이나 아시아에는 다른 종류가 있었습니다만, 1만 2000년전에는 호모 사피엔스만이 되었습니다. 우리의 조상이 6만년 전에 아프리카를 나온 후, 어떤 버린 동물들은 어디에 살고 어떤 모습을 하고 있었는지를 체험해 주시는 것이 본전의 큰 취지가 됩니다.

회장에서는, 독일의 라이스·엔겔호른 박물관이 소장하는, 수천년전까지 시베리아나 알래스카의 섬에서 살아 남아 있었다고 하는 케나가맘모스의 위용이 방문자를 마중. 본전의 주목의 하나이며, 박력에 눈을 빼앗기는 곳입니다만, 그 앞에서 자연스럽게 전시되고 있는 “창의 찔림이 붙은 호라아나라이온의 갈비뼈”도 잊지 않고 체크하고 싶은 일품입니다.
3~2만년 전의 최한냉기를 피크로 유라시아 대륙의 고위도 지역에서는 한랭화와 함께 광대한 스텝 툰드라(한랭한 초원과 영구동토지대)가 형성됩니다. 이 환경에서 번영한 것이 케나가맘모스, 호라아나라이온, 케사이, 스텝파이슨 등의 초원거의 맘모스 동물군이며, 한층 더 간빙기부터 삼림에서 생긴 기간테우스 대머리나 호라나나그마, 그 외 많은 현생종이 섞여, 최종 빙기 의 거대 동물군

「제1장 빙하기 유럽의 동물」은, 그러한 메가파우나의 화석이나 전신 골격 표본, 생체 복원 모형을 전시해, 멸종종과 현생종, 그 생태를 해설하면서 성쇠의 수수께끼에 대해 다가오는 구성입니다. 추위를 견디기 위한 훌륭한 체구와 긴 체모를 가진 동물들의 모습에서는 당시의 환경의 엄격함이 상상됩니다.



마치 천을 쓰고 있는 것 같은 긴 모피와 큰 발굽이 특징인 잉어는 맘모스 동물군의 생존으로 염소아과의 일종. 2만년 전 이후, 갑자기 시작된 온난화에 의해 스텝 툰드라가 축소해, 한랭지 적응한 씨와 초원거의 씨가 차례차례로 모습을 지워 가는 가운데, 황소나 북극 여우 등은 북극권에 서식지역을 옮길 수 있는 것으로, 지금도 가늘게 생존하고 있습니다.

크로마뇽인의 조상은 약 30만년 전에 아프리카에서 탄생해, 약 6만년 전에 유라시아 대륙에 퍼져 갔습니다. 당시 유럽에는 네안데르탈인이라는 다른 인류가 살고 있었습니다만, 약 4만년 전이 되면 모습을 지워 버립니다.


탄탄한 체격과 강인한 근육을 가지고 있던 네안데르탈인. 비교적 날씬한 체격에 긴 손발을 갖고 있던 크로마뇽인. 언뜻 보면, 가혹한 빙기의 생존에 적합한 것은 전자처럼 보이지만, 양자의 명운을 나눈 것은 무엇이었는가. 그 수수께끼를 석기나 장식품 등의 고고 유물과 함께 끈 풀리는 '제2장 네안델탈인과 크로마뇽인'에서는 동시대를 살았던 두 인류의 '세계 제일 유명한 두개골' 이라고도 불리는 '라 페라시 1호' '크로마뇽 1호' 의 실물을 일본 최초 공개.

'라 페라시 1호'는 1909년 프랑스 라 페라시 암음 유적에서 발견된 4만5000년 전~4만3000년 전 무렵의 네안데르탈인의 거의 완전한 전신 골격으로 출토. '크로마뇽 1호'는 마찬가지로 프랑스의 크로마뇽 암음에서 도로 공사 때 발견된 것으로, 2만8000년 전~2만7000년 전 무렵의 아마 남성이라고 생각되고 있습니다. 전시된 두개골을 보기만 해도 두개 길이, 광대뼈의 넓이, 눈썹의 융기 상태에 큰 차이가 발견되는 등, 양자의 모습을 실물로 비교할 수 있는 호화스러운 기회라고 할 수 있습니다.


덧붙여 지면에 몸을 구부린 상태에서 발견된, 「라・페라시 1호」를 계기로, 크로마뇽인과 비교해, 종래 야만으로 문화적으로 열등하다고 보여지고 있던 네안델탈인에게, 사자를 매장하는 습관이 있었던 것이 증명되어 갔다고 합니다.

제2장과 제3장을 연결하는 통로에서는, 아마추어에게는 기쁜 빙하기의 기초 지식을 해설하는 영상 전시나, 동물의 털이나 치아의 화석에 접하는 코너가 놓여져 있습니다. 케나가 맘모스나 오록스의 치아의 개성적인 윤곽을 따라가면서, 어떤 것을 먹고 있었는지, 왜 그 형상이 되었는지를 상상해 보는 것도 즐거울 것입니다.
「제3장 빙하기의 일본 열도」에서는, 약 3만 8000년전까지는 일본에 걸쳐 왔다고 생각되는 인류의 생활이나, 당시를 살았던 일본 3대 절감 동물인 나우만 코끼리, 야베오오츠노지카, 하나이즈 미모리우시 등의 동물들의 모습에 대해 소개하고 있습니다.
후기 구석기 시대 중엽에 있어서의 고혼슈섬의 석기의 지역성을 소개하는 비교 전시에서는, 이와테, 오사카, 가고시마에 있는 유적으로부터 발굴된 물건들이 줄지어 있습니다만, 특히 눈길을 끈 것은 오사카의 도리조엔 유적으로부터 출토한 돌날입니다.
제2회장에서는 「빙기·간빙기 사이클과 식생」의 전시가 계속되어, 하트형을 하고 있는 귀여운(?) 꽃가루 화석의 확대 모형이 있는 등, 끝까지 볼 만한 곳이 많은 전람회였습니다.


본전의 앰배서더를 맡는 역사를 좋아하는 탤런트·아바레 군도, “입구에서 출구까지 정중하게 봐 가면, 이과의 수업 50시간분 정도의 농후한 배움이 있잖아요” “버리는 곳 일절 없음! 모두가 볼거리!”라고 대절찬.
“여름방학의 자유연구나 배움에도 좋네요. 지구는 지금 여러가지 과제를 안고 있습니다만, 어려운 시대를 살아남은 빙하기의 동물들의 모습은, 우리, 현대에도 통하는 것이 있는 것이 아닐까 생각 에요」라고 열변하면서, 「나의 매우 즐거운 나레이션·해설 첨부로 봐 주시면, 배움・알기 쉬움도 100배입니다」라고 자신이 담당한 음성 가이드를 어필했습니다.
특별전 「빙하기전 ~인류가 본 4만년 전의 세계~」의 개최는, 10월 13일(월·축)까지가 되어 있습니다.
특별전 「빙하기전 ~인류가 본 4만년 전의 세계~」개요
회장 | 국립과학박물관(도쿄·우에노 공원) |
회기 | 2025년 7월 12일(토)~10월 13일(월·축) |
개관 시간 | 9:00~17:00(입장은 16:30까지) |
야간 개관 | 8월 8일(금)~17일(일) 및 10월 10일(금)~13일(월·축)은 19시 폐관(입장은 18시 30분까지). ※상설 전시는 8월 9일(토)~15일(금)은 18시까지. 그 이외의 기간, 상설 전시는 17시까지(입장은 각 폐관 시간의 30분 전까지). |
휴관일 | 9월 1일(월), 8일(월), 16일(화), 22일(월), 29일(월) |
티켓 | 일반 / 학교 2,300 엔, 중간 600 엔
※미취학아는 무료. |
주최 | 국립과학박물관, TBS, TBS 글로디아, 도쿄신문 |
문의 | 050-5541-8600(헬로 다이얼) |
전시회 공식 HP | https://hyogakiten.jp/ |
※기사의 내용은 취재일 시점의 것입니다. 최신 정보는 전시회 공식 HP 등에서 확인하십시오.
기사 제공: 코코실 우에노